CKA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시험 정보
응시료: $395
11월 말 ~12월 cyber monday때 제공하는 50% 할인 쿠폰을 사용해서 저렴하게 시험 봄
시험 응시 기간 : 1년
총 2번의 기회로 결제 후, 결제 기준 1년 이내로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시험을 응시할 수 있음
시험시간 : 2시간
30분 전부터 시험 환경에 접속 가능
30분 일찍 접속했지만, 감독관이 이것저것 카메라 비추고 확인하는 게 좀 걸려서 3분 정도 뒤에 시작
세팅 시간으로 시간이 늦어져도 응시 시간에는 지장은 없었다.
문제 : 17문제
각 문제 마다 배점이 다르며 66% 이상이면 합격
부분 점수가 있으니 끝까지 푸는 게 중요한 듯
고배점인 etcd backup / cluster upgrade문제가 맨 뒤에 나왔다.
시간 계산을 잘못하여 아예 문제를 건들지도 못했다.
본인도 떨어진 줄 알았으나 부분 점수로 합격한 케이스...
Kubernetes 사용 기간 및 배경
본인은 3년 차 시스템 엔지니어이며, 이전에 국비 교육을 들으며 Kubernetes를 처음 접했다.
그 때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정도로만 기초적인 것들만 사용해 보고 학습하였다.
현재 회사 프로젝트에서 Kubernetes를 사용해야 해서 다시 복기하는 겸
조금 더 깊게 공부하고 싶어 시험을 응시함
시험 준비 과정
1. 기존에 부트캠프에서 쿠버를 조금 다뤄봐서 따로 책은 보지 않음.
2. 쿠버를 다룬 지가 너무 오래되어 감을 잡고자 Udemy 뭄샤드의 강의를 들었다. (할인할 때 사자)
강의의 질이 좋았다 (하지만 듣다가 중도 하차함 - 시간이 부족했음)
무엇보다 해당 강의를 꼭 들어야 하는 이유는...KodeCloud !!
(Mock Exam과 LightningLab 때문...)
Mock Exam과 LightningLab이 시험보다는 쉬운 문제이지만
유사한 환경을 반복적으로 실습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응시가 목적이라면 필수인 듯
Udemy -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3. KodeCloud만 풀고 시험을 응시하려 했는데, 회사에서 강의 다 지원해준다 하여
시험 전 주부터는 패스트캠퍼스 이성미 강사 CKA 시험 과정을 신청해서 공부했다.
확실히 Virtual Box VM 가상 환경도 지원해 주고
무엇보다 기출문제를 제공해 주는데 해당 기출 문제들이 시험에서 나오는 유형과 거의 유사했다.
완전 똑같진 않았는데 use-context 바꾸는 거부터 도움이 많이 됐다.
시험이 급한 사람이라면 이것만 결제해서 듣고 시험쳐도 괜찮을 듯... (역시 돈 값 하는듯)
(CKA,CKAD,CKS 전부 포함이라 좀 비쌈...)
https://fastcampus.co.kr/dev_online_kubemaster
시험 환경
모든 시험은 영어
VNC(Vitual Network Computing) 연결을 제공하는 PSI Bridge에서 이루어졌다....
(KubeVirt를 사용한 환경인 듯)
시험 장소
한 사람만 들어갈 수 있는 회사에 전화 부스에서 시험을 봤고 감독관과 형식적인 대화를 끝마치면
캠을 이용해서 주변 환경 체크를 요구한다.
(노트북 충전기, 노트북 거치대, 무선마우스, 무선키보드, 미니 선풍기 가져감)
방안 사각에서 내부 공간과 책상 아래, 천장 등을 확인했고, 핸드폰은 밖에 두고 왔다.
시험 볼 때 노트북 외 주변에 아무것도 있어서 안되기 때문에 선풍기도 바닥에 뒀다.
시험 환경
0. 본인 확인
환경 세팅이 완료되면 본인 확인 절차가 시작되니 여권은 필수 지참 !
1. 본인 담당 감독관은 좀 빡빡했던 것 같다...
입으로 웅얼거림, 카메라 화면에 너무 가까이 붙는 행위, 턱을 괴는 행위 등... 수 차례 경고를 먹음...
(화면도 작은데 경고,메신저가 오면 화면이 작아지면서 채팅창이 떠서 집중력이 흐트러짐...)
그럴 수 있다고는 생각하나 조금 빡빡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잘못인 건 알지만... 무의식적인 행동이라 주의하시길...
2. 복사, 붙이기는 Ctrl+Shift+c & Ctrl+Shift+v를 사용할 수 있다.
본인은 평소에도 붙여 넣을 때 Shift+Insert를 많이 사용하는데
FireFox와 문제 지문간 복사->붙여넣기에서 한 쪽 환경에서만 Shift+Insert가 먹혀서 좀 당황했음..
그냥 Ctrl+Shift+c & Ctrl+Shift+v를 사용하는 거에 익숙해지면 좋을 듯 (대신 좀 잘 씹힘)
3. 번역 기능은 구글 번역기를 플러그인으로 주는 거 같은데... 하지말자...
본인도 이거 한번 써보겠다고 5분 날려 먹음. 어떻게 사용하는지 잘 모르겠음...
4. 문제 자체가 어려운 지문은 아니다. 영어 울렁증 있으면 처음엔 당황할 수 있다.
본인도 영어가 자신이 없어 killer.sh를 처음 접할 때 많이 울렁거렸다...
영어가 자신 없으면 영어 지문의 핵심 키워드들을 나열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시험 문제에 해당 문제와 관련된 docs 참조 링크가 걸려있다.
나는 docs에서 내가 익숙한 키워드 검색을 해서 풀어나갔다.
6. 나는 Ctrl+F를 이용하며 필요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하단에 나타나는데 화면 비율이 맞지 않으면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크기 조정이 필요함
듀얼 모니터는 허용되지 않는다. 화면이 크면 클수록 좋다.
데스크탑 PC로 시험을 본다면 더 좋을 것 같지만, 노트북으로 해도 충분히 합격 가능
7. 시험 환경을 느끼고 싶으면 시험 전에 CKA에서 제공하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해보시는 것도 좋다.
(killer.sh) 문제들은 실제 시험과 좀 결이 달라서 어렵다.
테스트 환경을 접해보는 느낌만 경험하고 풀지는 않았다.
시험 나온 문제
(순서는 기억 안남)
1. pv 만들기
2. networkpolicy (namespace … port 같이..) => podselector부분 실수한듯 ?
3. pvc만들고 10Mi → 70Mi
4. SA, Clusterrole만든 후 binding
5. Log “file not found” 저장 문제
6. etcd backup → TLS … peer.key ? peer-key , perr-cert…
7. nodeselertor (type=ssd)
8. node 트러블슈팅 kubelet resatrt
9. ready 노드 카운트 (taint 노드 제외)
10. ingress 문제 (/hi)
11. sidecar문제 - 일반 기출 하고 내용이 좀 달랐음 (커맨드부분이)
12. node 한개 (unavailable and reschedule) => drain 후 uncornd 문제
13. deployment 생성
14. 멀티 컨테이너
15. scale 문제
16. deployment service port container port name = http
17. Cluster upgrade (only master)
시험 후기
준비
본격적으로 준비 한 기간 총 2개월 정도...
시험을 위해서가 아닌 Kubernetes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Udemy를 시청하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대략 6월~7월 1개월간)
그러고 회사 장기 출장과 업무가 몰려 7월~8월까지 흐름이 끊기게 되며
너무 늘어지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들어, 그냥 빠르게 시험을 응시해야겠다는 생각이 듦
그래서 출장 중에 퇴근하고 8월 말부터 2주간 Udemy KodeCloud에 있는
Mock Exam과 LightningLab 이해하고 오답을 진행하며 공부함
(9월 긴 추석 연휴를 보낸 후...)
기출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패스트 캠퍼스 이성미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1주일간 마무리 정리를 함
시험에 나오는 기본적인 구조 설명이 아주 잘 되어있어서 도움이 많이 됐다.
(확실히 시험만이 목적이라면 정말 추천)
실전
실습은 충분히 연습했다고 생각하여 자신 있게 시험을 응시함
하지만 환경 적응이 안 된 상태로 시험을 봤기 때문에 15분 정도를 허비했음
kubectl config use-context {name} 해당 부분에서 master로 접속해서 풀어야한다거나
스위칭하는 부분에서 잦은 실수가 있어 시간 계산을 잘하지 못함...
해당 부분 신경 많이 써야 할 듯
다 아는 문제이고 어디서 본 문제이지만 에러가 한번 발생하면
조바심 때문인지 머리가 백지가 됨...
이때 다른 후기에서도 그렇지만 Flag 해 놓고 넘어가라는 데 집중하다 보니
그게 안 돼서 시간 계산을 잘못함..
(그래서 실제로 맨 뒤에 etcd backup 과 cluster upgrade 문제를 통으로 못풀었다...)
여기서 이번 시험 망했다 생각하고 다음 재시험 언제 볼지 생각한 듯...
시험 응시 예정인 사람들은...
에러 뜨면 한번 해결해 보고 안 되면 바로 Flag하고 넘어가시길...
끝까지 푸는 게 젤 중요하니 시간 계산 철저하게 하시길...
(부분 점수를 꽤 쳐주는 듯함)
Tip !
1. 처음 모르는 것은 일단 시간 상관없이 블로그들이나 Docs 찾아가며 이해하며 풀기
2. kubernetes.io(Docs) 는 영어를 못해도 상관없으니 무조건 영어로 찾는 습관 들이기
3. 문제를 읽고 해당 문제가 어떤 유형인지 파악됐다면 키워드 떠올리기
4. 키워드를 Docs에서 검색하고 찾는 능력 키우기
(Docs에서 키워드로 검색 후 yaml파일에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찾아내는 능력이 중요)
5. yaml 파일을 전부 긁어다가 apply 하는 선언적 방식보다는
명령형 방식으로 확인하며 습관 들이기
(kubectl run nginx --image nginx --dry-run=client -o yaml)
6. 눈으로 풀지 말고 무조건 손으로 쳐보며 실습 반복
7. 시간 관리... 철저히 하며 문제 끝까지 풀 것...
시험 시작하면 치트 시트 열어서 해당 명령어 복/붙 후 시작
> (기본 설정) kubectl을 k로 줄여주어서 타자 시간을 줄여줌
alias k=kubectl
> (설정 필요) sample yaml or yaml 문법 정상 테스트 시 자주 사용
export do="--dry-run=client -o yaml"
# k run nginx --image=nginx $do
치트 시트
https://kubernetes.io/pt-br/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시험 공부하며 참고한 사이트
'자격증 >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emy Mock Exam - 2 (0) | 2024.08.25 |
---|---|
Udemy Mock Exam - 1 (0) | 2024.07.30 |
[CKA] Udemy Lightning Lab (7/7) (0) | 2024.07.29 |
[CKA] Udemy Lightning Lab (6/7) (0) | 2024.07.29 |
[CKA] Udemy Lightning Lab (5/7) (0)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