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CS

OSI 7 Layer

14ben 2023. 5. 5. 17:22
728x90

맨날 들어도 뭔지는 알지만... 물어보면 어버버 거리는 OSI 7 Layer 개념의 쐐기를 박고자 기록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네트워크 통신은 OSI 표준에 따라 이루어짐

인터넷에서 접속해 강의를 듣거나 다양한 행위들이 OSI7 Layer 덕분이기 때문에 이해 필수적 !!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기능별로 나눠 설명한 것 

  - 각 계층은 하위,상위 계층의 기능만 이용, 제공

  - 일반적으로 하위계층 = 하드웨어, 상위계층 = 소프트웨어로 구현됨

 

출처 : https://shlee0882.tistory.com/110

<OSI 7 Layer>

 

네트워크 통신 시 송시낮와 수신자가 지켜야 할 각 단계의 규칙을 뜻함

위에서 부터 Application(실제 프로그램) 아래로 내려 갈 수록 Cable(물리적 구간)에 가까워짐

아래로 내려 갈 수록 Protocol Header가 추가되어 계층 정보(TCP,IP,MAC 등)를 덧붙임

장애 발생시 어느 구간에서 발생했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기 위해 계층을 나눔

 

... 필수적인 계층만 먼저 설명


Application Layer (7 Layer)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데이터 단위 : Data

 

사용자가 UI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층

HTTP, FTP, DHCP, SMTP, DNS 등 있음

여기 속한 프로토콜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사용자와 직접 접함

 

Transport Layer (4 Layer)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데이터 단위 : Segment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담당

신뢰성 잇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

사용자간 연결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얼마나 보냈는지 받았는지, 제대로 받았는지 등을 확인함

(대표적으로 TCP, UDP 있음)

 

면접 단골 질문 .. 알고는 있지만 정리하고 넘어감

   

- TCP 
  •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가 가능하다.
  •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 UDP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 전이중(Full-Duplex), Point-to-Point 방식
  • 유니캐스트 : TCP기반으로 하나의 송,수신자간 데이터 전송 방법
    (mac 기반 ip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1:1 통신 방식

     .....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신뢰성을 보장한다!


  - UDP

  • 비연결형 서비스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UDP 헤더의 CheckSum 필드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한다.
  • 신뢰성이 낮다.
  •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 브로드캐스트 : UDP기반 자신의 호스트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안에 있는 모든 수신자에게 패킷을 전송

..... 신뢰성보다는 연속성이 중요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 자주 사용

TCP UDP 차이

Network Layer (3 Layer)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 데이터 단위 : Packet

 

IP(Internet Protocol)이 활용됨

한 Endpoint가 다른 EndPoint로가고자 할 경우 경로와 목적지 찾아줌 (이를 Routing 이라고 함)

다른 IP들이 목적지를 향해 제대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

 

DataLink Layer (2 Layer)

[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 Ethernetframe Header]

- 데이터 단위 : Frame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 (4계층하고 혼동 ㄴ)

MAC Address 를 활용 같은 구간 내 Endpoint orSwitching 장비에 전달함

1 Layer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에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찾아냄

 

Physical Layer (1 Layer)

- 데이터 단위 : Bits

 

Cable로 대표되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됨

 

전체 계층을 그림으로 이해하기 위한 참고 사이트

https://velog.io/@jeongs/네트워크-OSI-7-계층-그림과-함께-이해하기

 

 

* 참고 사이트

출처 : https://aws-hyoh.tistory.com/50

출처 : https://just-my-blog.tistory.com/24

728x90

'Infra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DNS  (0) 2024.01.08
[Network] NAT/PAT  (1) 2024.01.05
[Network] 방화벽  (4) 2024.01.04
[Network] Load Balancer  (1)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