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Linux

[Linux] '/' 루트 아래 주요 디렉토리의 용도

14ben 2024. 1. 5. 11:37
728x90
리눅스의 전부는 최상위 디렉토리 '/' 에 존재

 

루트 디렉터리인 '/'와 /root는 다르다

/root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슈퍼 유저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이다.

 

'/' 루트 디렉터리 목록

 

bin, lib, sbin ... 등 하늘색은 링크 되어 있는 파일

tmp ... 초록색은 모두 사용 가능한 풀 권한 파일


주요 디렉토리

▶ root

 

▶ bin (Binary)

  • 사용자 명령어 디렉토리
  • 시스템 복구 및 복구에 필요한 필수 바이너리 실행 파일(명령어)이 포함
  • 실제 파일 경로 /usr/bin에 존재하고 링크 되어있음

▶ dev (Device)

  • 장치 파일 디렉토리
  • 하드웨어 장치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장치 파일이 존재
  • 가상의 장치들도 존재 (ex : dev/null ...)

▶ home

  • 일반 사용자를 위한 홈 디렉토리
  • 유저 생성 시 이름 그대로 홈 디렉토리가 자동 생성

▶ lib64 (Libary 64-bit)

  • /bin 및 /sbin의 바이너리에 필수적인 64비트 라이브러리
  • lib=32bit / lib64=64bit
  • 링크 파일이고 실제 경로 /usr/lib64

▶ mnt (Mount)

  • 임시로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지점

▶ proc (Process)

  • 프로세스 및 시스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는 모든 작업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
  • 시스템에 운영되는 커널, 프로세스 등의 프로그램 존재

▶ run

  •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런타임 데이터용 디렉터리

▶ srv (Service)

  • 시스템에서 호스팅되는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포함
  • ftp, www 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저장

▶ tmp (Temporary)

  • 재부팅 시 삭제될 수 있는 임시 파일을 저장
  • 공용 디렉토리
  • ex) 인터넷 정보를 다운받으면 삭제하지 않고 임시로 놔두는 파일
  • 웹 해킹에 노출되므로 주의가 필요한 디렉토리
  • sticky bit라는 특수 권한으로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로 되어있는 파일 지울 수 있다

▶ var (Variable)

  • 가변 자료 디렉토리
  • 크기나 내용이 변경될 수 있는 로그, 스풀 파일 및 기타 파일과 같은 가변 데이터를 보관
  • 대표적으로 log파일이 존재한다 (dns, mail...)

▶ boot

  • 부팅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 필요한 파일이 포함

▶ etc (Etcetera)

  • 시스템 환견 설정 디렉토리
  • 구성 파일과 시스템 전체 설정을 저장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렉토리?
  • 시스템 관련 설정 파일

▶ lib (Library)

  • 라이브러리 :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미리 만들어 설정 해놓는 것
  • 컴퓨터를 사용하며 어디든 바로 사용 가능한 정보를 모아둠
  • /bin 및 /sbin의 바이너리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 링크 파일이며 실제 경로 /usr/lib
  • 부팅과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 및 커널 모듈이 존재

▶ media

  • USB 드라이브와 같은 이동식 미디어 장치용 마운트 지점
  • 탈부착 가능한 장치 dvd, cd-rom, usb ...(mnt와 다름)

▶ opt (Optional)

  • 소프트웨어 패키지 디렉토리
  • 선택적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할 위치를 제공
  • 소프트웨어  파일들을 가지고 있다
  • Unix 계열의 운영체제 보통 응용프로그램은 여기 설치됨
    Redhat 계열 리눅스는 /usr/local에 설치됨

▶ sbin (System Binaries)

  • 시스템 명령어 디렉토리
  • 시스템 관리에 사용되는 시스템 바이너리가 포함
  • 링크 파일이며 실제 경로 /usr/sbin
  •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bin 디렉토리

▶ sys (System)

  • 커널 관련 정보 및 구성을 노출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 sysfs가 마운트 된 디렉토리
  • sysfs는 /proc안에 있던 디바이스 관련 파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역할

▶ usr (Unix System Resources)

  • 공유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 바이너리, 라이브러리, 문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 관련 시스템 리소스를 보유
  • Universal System Resources & Read-only file의 약자?
  • Window에 Programfiles 같은 느낌
  • 공유 가능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설치 됨
  • 디렉토리 내부에 일반적인 명령어들이 존재 (/usr/bin)
  • 보통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usr/local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됨
  •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에 생성되는 명령어들과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들이 /usr/sbin에 존재
  • 읽기 전용 파일들은 내용 수정 불가
  • 수정하려면 /var 디렉토리로 심볼릭 링크를 통해 사용 가능

 


출처 : https://it-serial.tistory.com/entry/Linux-%EC%95%88-%EC%A3%BC%EC%9A%94-%EB%94%94%EB%A0%89%ED%86%A0%EB%A6%AC-%EC%9A%A9%EB%8F%8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