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16

[CKA] Udemy 71. Daemon Sets

DaemonSets in Kubernetes지금까지 다양한 파드를 클러스터의 여러 노드에 배포했음.ReplicaSet과 배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복사본을 다양한 작업자 노드에 사용할 수 있게 했음.DaemonSet은 ReplicaSet과 유사하게 여러 인스턴스의 파드를 배포하는 데 도움을 줌.하지만 DaemonSet은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파드의 복사본을 하나씩 실행함.새로운 노드가 클러스터에 추가되면 파드의 복사본이 자동으로 그 노드에 추가됨.노드가 제거되면 파드도 자동으로 제거됨.DaemonSet은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 항상 파드의 복사본이 존재하도록 보장함.  DaemonSet의 사용 사례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모니터링 에이전트나 로그 수집기를 배포하여 클러스터를 더 잘 모니터링할 수 있음...

자격증/CKA 2024.07.13

[CKA] Udemy 66. Taints and Tolerations vs Node Affinity

Taints and Tolerations vs Node Affinity문제 설명세 개의 노드와 세 개의 파드가 있으며 각각의 색상은 파란색, 빨간색, 녹색임.목표는 파란색 파드를 파란색 노드에, 빨간색 파드를 빨간색 노드에, 녹색 파드를 녹색 노드에 배치하는 것임.같은 Kubernetes 클러스터를 다른 팀들과 공유하고 있으며, 다른 팀의 파드와 노드가 존재함.다른 파드가 우리 노드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우리 파드가 다른 팀의 노드에 배치되지 않도록 해야 함. Taints and Tolerations을 이용한 해결 방법노드에 색상별로 테인트를 적용함. 파란색, 빨간색, 녹색으로 표시함.파드에는 해당 색상을 톨러레이트하는 설정을 추가함.이렇게 하면 파드가 생성될 때 노드는 올바른 톨러레이션을 가진 파드..

자격증/CKA 2024.07.13

[CKA] Udemy 63. Node Affinity

Kubernetes의 Node Affinity 기능주된 목적은 특정 파드가 특정 노드에서 호스팅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경우, 대규모 데이터 처리 파드가 Node 1에 배치되도록 보장해야 함.Node Selector와 Node Affinity의 차이점이전 강의에서 Node Selector를 사용하여 쉽게 이를 구현했었음.그러나 Node Selector는 OR나 NOT과 같은 고급 표현식을 제공하지 못함.Node Affinity는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특정 노드에 파드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함.이는 더 큰 복잡성을 수반하지만, 단순 Node Selector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Node Affinity의 구조spec 아래에 affinity가 있고, 그 아래에 nodeAffinity가 있음.requi..

자격증/CKA 2024.07.13

[CKA] Udemy 53. Manual Scheduling

Manual Pod Scheduling노드에 수동으로 Pod를 스케줄링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볼 예정클러스터에 스케줄러가 없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논의내장된 스케줄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Pod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임.  스케줄러의 백엔드 작동 방식간단한 Pod 정의 파일을 시작점으로 설명모든 Pod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Node Name이라는 필드를 가지고 있음.Pod 매니페스트 파일을 만들 때 이 필드를 명시하지 않음.Kubernetes는 이 필드를 자동으로 추가함.스케줄러는 모든 Pod를 검사하여 이 속성이 설정되지 않은 Pod를 찾음.이러한 Pod들은 스케줄링 후보가 됨.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적합한 노드를 식별.노드가 식별되면, 노드 이름 속성을 노드의 이름..

자격증/CKA 2024.07.05

[CKA] Udemy 45. 시험 Tips - Imperative Commands with Kubectl

인증 시험 팁 - Kubectl을 사용한 명령형 명령어주로 정의 파일을 사용하는 선언형 방식을 사용할 것이지만,명령형 명령어는 일회성 작업을 빠르게 수행하고 정의 템플릿을 쉽게 생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시험 동안 시간을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 유용한 옵션들--dry-run: 명령어를 테스트하려면 --dry-run=client 옵션을 사용.리소스가 실제로 생성되지 않고, 명령어가 올바른지와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알려줌.-o yaml: 리소스 정의를 YAML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이 두 가지 옵션을 조합하여 리소스 정의 파일을 빠르게 생성한 후, 필요에 따라 수정하고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음. POD 생성1. NGINX Pod 생성kubectl run nginx --image=ngin..

자격증/CKA 2024.07.04